티스토리 뷰

클라우드가 나타나면서 SaaS, PaaS, IaaS 등 용어가 많이 언급되고 있다.

그중, SaaS는 최근 몇 년간 IT산업에서 가장 큰 변화 중 하나이다. 이전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려면 해당 소프트웨어를 구매해야 했지만, SaaS는 이러한 방식을 바꾸어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구매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구매하는 데 필요한 초기 비용을 줄여주고,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의 서비스만 사용할 수 있게 해 준다. 

SaaS에 대해 알아보자

 

SaaS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고객 관리, 인사 관리, 회계 관리 등 다양한 업무에 활용된다. 이러한 서비스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되며, 사용자는 인터넷에 연결된 장치에서 언제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다.

 

SaaS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 째, 초기 비용이 적게 든다. 그리고 서비스를 사용하는 만큼 비용을 지불하기 때문에 의미 없는 지출을 막을 수 있고, 클라우드 기반으로 서비스를 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접근이 가능하다. 또한 중앙에서 관리를 하여 보안성이 높다.

하지만 SaaS도 단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 연결이 끊긴 경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 보안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SaaS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다. 그러면 과연 어떤 회사에서 SaaS를 활용하고 있는지 알아보겠다.

SaaS를 사용하는 회사는 SAP , Paychex, CA Technology, Atos, Salesforce, Slack, Microsoft Office 365 등이 대표적인 벤더이다. 그 외에도 많은 회사들이 SaaS를 사용하고 있으며, 벤더의 종류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MS의 SaaS

다양한 업종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SAP의 엔터프라이즈 리소스 계획(ERP) 소프트웨어는 고객 관리와 인사 관리 등 다양한 업무에 활용된다. 또한, Salesforce의 고객 관계 관리(CRM) 소프트웨어는 고객 관리와 마케팅 등에 활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SaaS를 사용하는 회사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초기 비용이 적게 들며, 서비스를 사용하는 만큼의 비용을 지불할 수 있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낮아 쉽게 접근할 수 있다. 

SaaS를 도입하려면 SaaS벤더의 신뢰성, 데이터 보안 문제, 서비스 수준 계약(SLA), 초기 비용 및 운영 비용, 벤더가 제공하는 기능과 서비스 등이 있다.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적절한 벤더를 선택해야 한다. 참고로 서비스 수준 계약(SLA)을 체결하여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간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해야 한다. 

 

만약, 아직 SaaS를 도입하기 전이라면 적절한 벤더를 선택하여 기업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고려해 보는 것이 좋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